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기 개월 수별 수유량, 스케줄, 신체 특징 및 육아 팁 총정리

by 육아37 2025. 4. 25.

육아는 매일이 다르고, 아기는 하루가 다르게 자랍니다. 아기 개월수별 수유량, 스케줄, 신체 특징 및 육아 팁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특히 초보 부모라면 “지금 이 시기엔 뭐가 정상이지?”, “우리 아기만 이런가?” 하는 고민이 끝이 없죠. 그래서 오늘은 개월 수에 따른 수유량, 수면 스케줄, 신체 특징, 육아 팁까지 한눈에 정리해보았습니다.

아기 개월 수별 수유량, 스케줄, 신체 특징 및 육아 팁 총정리
아기 개월 수별 수유량, 스케줄, 신체 특징 및 육아 팁 총정리

 

1개월 (0~4주)

 

수유량: 하루 8~12회 / 1회당 약 60~90ml

수면: 총 16~18시간 / 낮밤 구분 없음

신체 특징: 체중 3.5~4.5kg, 눈맞춤 어려움, 팔다리 움직임 잦음

육아 팁: 아직 낮과 밤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부모의 수면 부족이 가장 큰 고충입니다. 최대한 수유 후 바로 눕혀 재우는 루틴을 만들어 주세요.

주의점: 배냇짓과 놀람 반사(모로 반사)는 정상이며, 지나치게 울음이 길거나 분수 토를 하면 소아과 상담이 필요합니다.

 

2개월

수유량: 1회 90~120ml / 6~8회

수면: 총 15~17시간 / 밤에 2~3시간씩 연속 수면 가능

신체 특징: 시야가 조금 넓어지고, 엄마 얼굴을 따라 움직이기 시작

육아 팁: 이 시기부터는 산책을 조금씩 시도해도 좋습니다. 낮에 햇빛을 쐬면 밤잠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발달 포인트: 웃음과 옹알이가 시작됩니다. 반응이 없을 경우 자극을 늘려주세요.

 

3개월


수유량: 120~150ml / 하루 6회

수면: 총 15시간 전후 / 밤잠이 5시간 이상 될 수도 있음

신체 특징: 목 근육이 강해지고 엎드린 자세에서 고개를 들 수 있음

육아 팁: 턱 받치고 안아주기, 거울 보여주기 등 시각 자극을 다양하게 주는 게 좋습니다.

주의점: 이 시기부터 밤에 오래 자는 아이도 많지만, 아직은 수유로 깨는 것도 정상입니다.

 

4개월


수유량: 150~180ml / 5~6회

수면: 총 14~16시간 / 밤잠이 더 길어지고 낮잠은 3회 정도

신체 특징: 뒤집기 준비 시작, 손을 자주 입으로 가져감

육아 팁: 배 위에 장난감 올려주기, 엎드려 놀기 ‘Tummy time’을 늘려주세요.

발달 체크: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장난감에 손을 뻗기 시작합니다.

 

5~6개월


수유량: 180~210ml / 하루 45회

수면: 총 14~15시간 / 밤잠은 6시간 이상, 낮잠 2~3회

신체 특징: 뒤집기 완성, 양손 협응 발달

육아 팁: 이 시기부터 이유식 준비 시작! 생후 6개월부터 초기 이유식을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주의점: 이유식 전 알러지 위험 식품은 피하고, 처음엔 미음이나 쌀죽으로 천천히 시작하세요.

 

7~8개월

 

 

수유량: 3~4회 모유/분유 + 이유식 2회

수면: 총 13~14시간 / 밤잠 10시간 내외

신체 특징: 앉기 가능, 치아 1~2개 올라옴

육아 팁: 손가락으로 집기, 입으로 넣기 등 소근육 발달을 돕는 놀이가 효과적입니다.

발달 포인트: 낯가림이 시작되며, 부모 이외 사람에게 울 수 있습니다.

 

9~10개월


수유량: 하루 3회 모유/분유 + 이유식 3회

수면: 총 13시간 / 낮잠 2회

신체 특징: 기기, 잡고 서기 가능

육아 팁: 안전한 공간에서 기도록 유도하고, 보호자는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

주의점: 혼자 일어서는 시기가 빠른 아기도 있으나, 걷기까지는 개별차 큽니다. 조급해 하지 마세요.

 

 

11~12개월

 

수유량: 하루2~3회 분유/모유 + 이유식 3회

수면: 하루 12~14시간 / 낮잠 1~2회

신체 특징: 손가락질, 간단한 단어 사용, 걷기 시작하는 아이도 있음

육아 팁: 부모의 말투와 표정을 따라하는 시기입니다. 책 읽기, 노래, 손유희가 매우 효과적입니다.

발달 체크: ‘빠이’, ‘박수’, ‘안녕’ 등의 상호작용이 보이면 정상 발달 중입니다.

 

주의사항


아기의 성장 속도는 개별차가 크기 때문에, 너무 비교하거나 조급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요한 것은 아기의 전체적인 흐름이 건강하고 활기찬가를 보는 것이며, 특정 행동이 늦는다고 해서 바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부모가 안정된 마음으로 지켜봐주는 것, 그리고 사랑과 관심을 꾸준히 주는 것이 아기에게는 최고의 성장 자극이 됩니다.

위의 내용이 육아 중 고민하고 계신 부모님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